본문 바로가기
  • 네모속 세상
  • 제주속으로
Jeju_풍경/Jeju_오름

오름이란 ?? 산이란?

by nemoin 2025. 4. 4.

오름이란 ?? 산이란?

오름과 산의 차이점

제주도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오름’이라는 단어. 많은 사람들이 ‘오름’과 ‘산’의 차이를 궁금해한다. 두 개념은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있는데, 이를 명확히 알아보자.

1. 오름이란?

오름은 제주도에서 사용되는 독특한 용어로, 화산 활동으로 인해 형성된 기생화산체(측화산)를 뜻한다. 한라산의 분화 활동 과정에서 만들어진 작은 봉우리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특징:

  •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작은 봉우리
  • 한라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기생 화산
  • 대체로 높이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여 등반이 쉬움
  • 정상부가 분화구 형태로 움푹 파여 있는 경우가 많음

대표적인 오름: 새별오름, 용눈이오름, 다랑쉬오름 등

2. 산이란?

산은 일반적으로 해발고도가 높은 지형을 뜻하는 말로,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특징:

  • 오름보다 규모가 크고 해발고도가 높음
  •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개념
  • 오름과 달리 화산 활동이 아닌 지각변동, 침식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음
  • 등반 시 체력 소모가 크고, 등산 장비가 필요할 수도 있음

대표적인 산: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등

3. 제주도에 있는 주요 산 목록

제주도에는 한라산 외에도 비교적 작은 규모의 산들이 존재한다.

  • 한라산 (1,947m) - 제주도에서 가장 높은 산, 백록담이 위치
  • 금오름 (427m) - 분화구 내 작은 호수가 있는 산
  • 영실기암 - 한라산의 웅장한 암벽 지형이 있는 곳
  • 어승생악 (1,169m) - 한라산 정상까지 오르지 않고도 높은 전망을 볼 수 있는 산
  • 돌오름 - 한라산 국립공원 내 위치한 오름과 산의 중간 개념
  • 영주산 -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산으로 해발 1,075m
  • 산방산 - 분화 활동 없이 형성된 기암괴석 산으로 유명
  • 송악산 - 제주 서남부에 위치하며 아름다운 해안 경관이 특징
  • 단산 - 한경면에 위치한 산으로, 산 정상에서 한라산과 바다가 함께 보이는 명소
  • 대록산 - 한라산 북동쪽에 위치하며 비교적 낮은 해발을 가짐
  • 군산 - 서귀포 지역에서 아름다운 전경을 볼 수 있는 산

4. 오름과 산의 주요 차이점 비교

구분오름산

형성 과정 화산 활동 (기생 화산) 화산 활동, 지각변동, 침식 등 다양한 원인
크기 상대적으로 작음 규모가 크고 해발고도가 높음
위치 주로 제주도 전국적으로 분포
경사 완만한 편 가파른 경우가 많음
등반 난이도 쉬운 편, 산책 가능 체력 소모가 크고 등산 장비가 필요할 수도 있음

5. 제주도에서 오름을 오를 때 알아두면 좋은 점

  • 대부분 30분~1시간 이내로 오를 수 있어 가볍게 산책하기 좋음
  • 사계절마다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음 (봄 유채꽃, 가을 억새 등)
  • 정상에서 한라산과 바다를 동시에 볼 수 있는 곳이 많음
  • 일부 오름은 사유지로 출입이 제한될 수도 있으니 방문 전 확인 필요

결론

오름과 산은 비슷하지만, 제주도의 화산 지형이라는 특성 때문에 ‘오름’이라는 용어가 따로 존재한다. 오름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생긴 작은 화산체로, 비교적 등반이 쉬운 편이다. 반면 산은 규모가 크고 형성 원인이 다양하며,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제주 여행 시 가벼운 트레킹을 원한다면 오름을, 본격적인 등산을 원한다면 한라산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