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에서 외장하드 설정하는 방법 : 포맷부터 백업까지!
맥(Mac)에서 외장하드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맥에서 외장하드를 연결하고 포맷하는 방법부터 백업을 설정하는 과정까지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I. 외장하드 연결 및 인식 확인하기
외장하드를 맥에 연결하면 Finder에서 자동으로 인식됩니다. 하지만 간혹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외장하드가 인식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1. Finder에서 확인 : Finder > 이동 > 컴퓨터에서 외장하드가 보이는지 확인하세요.
2.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확인 :
-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 디스크 유틸리티를 실행합니다.
- 외장하드가 목록에 보이면 마운트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마운트 버튼을 눌러 수동으로 연결해 보세요.
3. 케이블 및 포트 변경 :
- 다른 USB 포트에 연결해 보거나 케이블을 교체해 보세요.
II. 외장하드 포맷하기 (필요 시)
처음 사용하는 외장하드는 적절한 포맷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윈도우와 맥을 함께 사용하려면 exFAT 형식이 가장 적절합니다.
외장하드 포맷하는 방법
1. 디스크 유틸리티 실행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 디스크 유틸리티)
2. 왼쪽 사이드바에서 외장하드 선택
3. 상단의 지우기(Erase) 버튼 클릭
4. 포맷 방식 선택:
- Mac 전용: APFS 또는 Mac OS 확장(저널링)
- Mac & Windows 호환 : exFAT (가장 추천!)
- 구형 장치 호환: MS-DOS(FAT32) (파일 크기 4GB 제한)
5. 디스크 이름 입력 후 지우기(Erase) 버튼 클릭
6. 포맷이 완료되면 외장하드가 자동으로 마운트됩니다.
III. 외장하드 읽기/쓰기 설정 확인하기
포맷이 완료되면 외장하드를 읽고 쓸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NTFS 형식의 외장하드는 맥에서 기본적으로 읽기 전용(쓰기 불가) 상태로 인식됩니다.
NTFS 외장하드에서 쓰기 기능 활성화하는 방법
맥에서 NTFS 형식을 쓰려면 추가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 유료 옵션 : Paragon NTFS for Mac, Tuxera NTFS for Mac
- 무료 옵션 : Mounty for NTFS (제한적 지원)
하지만, **exFAT으로 포맷하면** 별도 프로그램 없이 읽기/쓰기 모두 가능합니다.
IV. Windows에서 Mac으로 파일 이동하는 방법
윈도우에서 맥으로 파일을 옮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쉬운 방법들을 정리해 드릴게요.
외장하드 또는 USB 사용하기 (exFAT 권장)
1. 윈도우에서 외장하드(exFAT 포맷) 또는 USB에 파일 저장
2. 맥에 연결 후 Finder에서 파일 복사하여 사용
3. NTFS 포맷 외장하드는 Mac에서 쓰기가 불가능하므로, exFAT으로 포맷하는 것이 좋습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활용
- Google Drive, Dropbox, OneDrive 등을 활용하여 파일 업로드 후 맥에서 다운로드
- 큰 파일도 쉽게 이동할 수 있어 편리함
네트워크 공유 설정
1. 윈도우에서 파일 공유 설정 활성화
2. 맥에서 `Finder > 이동 > 서버에 연결`에서 Windows IP 입력
3. 공유된 폴더에서 파일을 가져오기
AirDrop (Mac 간 파일 이동 시)
- Mac과 Mac 사이에서는 `AirDrop` 기능을 활용하면 빠르게 파일 전송 가능
V. Time Machine 백업 설정 (선택 사항)
외장하드를 백업용으로 사용하려면 맥의 기본 백업 기능인 Time Machine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Time Machine 설정 방법
1. `시스템 설정 > 일반 > Time Machine` 이동
2. 백업 디스크 선택에서 외장하드를 선택
3. Time Machine이 자동으로 백업을 시작하도록 설정
4. 필요하면 특정 폴더 제외 설정 가능
Time Machine을 설정하면 맥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백업할 수 있어 데이터 손실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VI. 마무리
이제 외장하드를 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포맷 선택 요약
- Mac 전용 ➝ `APFS` 또는 `Mac OS 확장(저널링)`
- Mac & Windows 호환 ➝ `exFAT` (추천)
- 구형 장치 호환 ➝ `MS-DOS(FAT32)`
Windows → Mac 파일 이동 요약
- 외장하드(USB) ➝ `exFAT` 포맷 추천
- 클라우드 스토리지 ➝ Google Drive, Dropbox 등 사용
- 네트워크 공유 ➝ 윈도우에서 파일 공유 후 Mac에서 접속
- Mac 간 이동 ➝ AirDrop 활용
외장하드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거나 인식되지 않는다면 위 내용을 참고하여 다시 설정해 보세요.
'영상편집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북 비밀번호 뭐지 ? 찾는 방법 (0) | 2025.04.02 |
---|---|
맥북 장단점 – 구매 전 꼭 알아야 할 모든 것(맥북 초보자 가이드) (0) | 2025.03.29 |
매직 마우스(Magic Mouse) 사용법 및 장단점 (맥북 초보자 가이드) (0) | 2025.03.27 |
맥북 트랙패드 장단점 (맥북 초보자 가이드) (0) | 2025.03.26 |
맥북 트랙패드 사용법 (맥북 초보자 가이드) (0) | 2025.03.25 |